![]() |
Lineage OS의 APN 설정 |
1. Name: 내가 식별할 이 설정의 이름
2. APN: Access Point Name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계약한 사업자의 이름을 설정
3. Proxy: 보안을 위해 사용하는 대체 경로
4. Port: 통신의 종단점
5. Username: 통신사가 요구하는 경우 필요(국내에는 해당 없음)
6. Password: 5번 항목과 마찬가지
7. MMSC: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Centre, MMS 중계 서버
8. MMS Proxy: MMS를 위한 프록시
9. MMS Port: MMS의 포트, 필요로 하는 경우 사용
10. MMC: Mobile Country Code(PLMN의 45008에서 앞의 450에 해당)
11. MNC: Mobile Network Code(10번 항목의 08에 해당)
12. Authentication type: 5번 항목에서 통신사가 사용자 이름과 암호로 APN을 설정한 경우
13. APN type: 이 APN 구성을 사용하는 데이터 유형
14. APN protocol: 사용할 통신 규약
15. APN roaming protocol: 로밍시 사용할 통신 규약
16. APN enable/disable: 활성/비활성, 선택 불가능
17. Bearer: 특정 통신 프로토콜 사용시 APN 구성 제한
18. MVNO type: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
19. MVNO value: SPN, IMSI, GID, ICCID
![]() |
Bearer |
![]() |
MVNO type |
SPN : 일치시킬 값이 SPN 값(서비스 공급자 이름)임을 나타냅니다.
IMSI : 일치시킬 값이 IMSI 값(국제 모바일 가입자 ID)임을 나타냅니다. 이 값은 전 세계 네트워크의 모든 가입자 계정에서 고유합니다.
GID : 일치시킬 값이 그룹 식별자 레벨 1임을 나타냅니다.
MVNO type은 설명을 읽어봐도 모르겠고 눌러봐도 모르겠다. 이것저것 누르다보면 다른 APN 설정이 없어지기도 하는데 사실 없어지는게 아니라 감춰지는 것이다. 삭제된줄 알고 새로 만들면 같은 설정을 여러개 만들어 버리게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