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1월 9일 금요일

커스텀롬을 올렸더니 셀룰러로 인터넷이 안된다


LineageOS on Oukitel U20 Plus

 나는 커스텀 펌웨어를 검색할때 needrom에서 찾곤 하는데  최근에 해외직구로 구매한 Oukitel U20 Plus는 유저층이 적은건지 자료가 적다. 그래도 아주 없진 않은데 MIUI, XOSP, Lineage OS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진저브레드때부터 사용했던 것이 Cynogenmod였으므로 이 유지를 이어받은 Lineage OS를 설치하기로 했다.

 그런데 Oukitel U20 Plus는 Lineage OS의 공식 지원 기종이 아니다. Needrom에 업로드 되어 있는 롬을 플래시해보면 기본 언어가 러시아어로 나오는데 그로보아 아마도 포팅한 사람이 러시아인 인듯 하다. 첫 환경 설정은 물론이고 모든 설정에 한국어는 하나도 없기 때문에 내용이 한눈에 안 들어와서 사용이 조금 힘들다.

 스톡 롬일때는 외산폰이어도 셀룰러 환경일때 별다른 설정 없이 인터넷이 잘 되어서 몰랐는데 이 커스텀 롬을 올리니 인터넷이 안된다는걸 알았다. 왜 안되는건지 곰곰히 생각해보니 어디선가 '네트워크 공급자' 설정 같은걸 본 기억이 떠올랐다. 나무위키의 개요 항목을 보면 'APN 미설정이 네트워크 미등록의 원인이 될 수 없다는 것'이란 문장이 있는데 뭐 어찌되었던 나의 경우에는 apn 설정을 안하거나 설정이 잘못되면 인터넷이 되지 않았다.

 설정을 뒤져보니 SIM cards - Mobile network settings - Network Operators 라는 항목이 있다. 여기를 들어가면 검색하느라 길게는 1분 이상이 걸리기도 하는데 기다리면 목록이 몇개 뜬다. 이게 무엇이냐면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라는 것인데 45008은 Korea Telecom. 즉 KT를 말한다. 45005는 SKT, 45006은 LGU+라고 한다. 본인은 45008을 선택했다.

 그리고 APN(Access Point Name)도 설정해 줘야 하는데 모든 필드를 입력하진 않아도 되고 필요한 것만 넣어도 잘 동작하는것 같다.

 1. Name : 사용자가 식별하기 위한 것이므로 아무거나 쓰면 된다. ex) KT LTE
 2. APN : lte.ktfwing.com
 3. MMSC : http:mmsc.ktfwing.com:9082
 4. APN Type : default, mms, *, supl등등

 2번 항목인 APN을 넣으면 인터넷이 되기 시작한다. Preferred network type이란 항목을 들어가면 LTE, 3G, 2G를 선택할 수 있는데 3G를 선택해보면 인터넷이 되지 않는다. 그런 경우는 거의 없겠지만 상황에 따라서 3G를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추가로 apn을 하나 더 만들어서 alwayson.ktfwing.com을 넣으면 3G도 이용할 수 있다. 연결이 되면 안테나에 H가 붙어서 표시된다. 선택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막상 해보니 일일이 환경이 바뀐다고 선택할 필요는 없고 그저 목록에만 있으면 알아서 내용을 참조한 후 연결이 되는것 같다.

 그 외에 lte150.ktfwing.com, alwayson-r6.ktfwing.com을 추가할 수도 있는데 해도 되고 안해도 된다.



 3번 항목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위한 것이다. http:// 가 아니라 http: 만 썼는데 이렇게 해도 된다.

 4번 항목은 default, mms, supl, wap, dun, fota, hipri등의 타입이 있는데 mms라고 지정해야 제대로 사진등의 MMS 메시지를 받을 수 있다. 잘 모르겠다 싶으면 default,mms만 넣어도 잘 작동한다. 아니면 default,mms,* 이렇게 해도 된다. del *.txt 명령이 파일명에 상관없이 txt 파일을 다 지우는것처럼 *은 그외에 나머지를 의미한다.

 그러면 나머지 다른 유형들은 왜 있는가? 이게 매우 궁금했는데 아마도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범위를 차등 제공하려는 경우나 다른 기술적 필요 때문에 쓰이지 않나 싶다. 참조링크 What are APN Settings and How Can They Fix Data Issues on Your Prepaid Phone

 'DUN'은 구글에 의해 번역된 내용에 따르면 '현재 APN 구성이 전화 접속 네트워킹 연결에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한다. 전화 모뎀을 에뮬레이트 하기 위해 폰을 사용하는 옛날 방법을 말하며 현재의 스마트폰이 더이상 테더링 하지 않는 방식이므로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참조링크 - Access Point Names (APNs)

 'SUPL'은 'Secure User Plane Location'의 약자로 '휴대전화에서 통신사의 지리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고 되어 있다. 흠.. 아무튼 그렇다고 한다. 뭣에 쓰일지 모르겠지만 지레 짐작해 보자면 휴대전화에서 통신사의 지리적 위치를 알 수 있다면 그 반대도 가능하지 않을까? 119에서 응급상황일때 위치 확인하는 것처럼 그런것에 응용하지 않을까 싶다. 그냥 내 예상이다. [차세대이동통신] OMA Secure User Plane Location 규격 표준화 동향Open Mobile Alliance[오픈 모바일 얼라이언스 (OMA)]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FOTA'는 'Firmware Over The Air'의 약자라고 하는데 모바일 네트워크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에 쓰인다고 한다. 이동통신사가 이 설정을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경우가 아니면 이 유형 또한 굳이 넣을 필요가 없다.

 HIPRI는 안드로이드에서 HIPRI라는 연결을 할 때 사용한다고 하는데 이걸 쓴다고 성능이 더 높아지거나 하는건 없다고 한다. 써도 일단 이게 무엇인지 알아야 쓸지 말지 알탠데 관련 내용을 읽어봤지만 무슨말인지 모르겠다. 따라서 나는 안쓴다. 참조링크 - 2G 노트3, S5등 MMS 수발신시 WIFI꺼야 하는 기기들 수정 참고사항

 검색을 해보면 mms port에 9032를 넣어야 한다던가 Authentication type을 PAP로 해야 한다던가 하는게 있는데 해보면 알겠지만 없어도 된다. 이 부분은 나무위키가 맞다.



 다음 글로 이어짐 - APN에 대해서 알아보자

댓글 없음:

댓글 쓰기